메인보기
조합소개
조합장 인사말
조합연혁
조직도
오시는길
조합규약
우리사주조합규약
감사규정
기아 정관
조합현황
조합원 현황
우리사주현황
인출신청
기수별 우리사주
소식
공지
기아소식
소식지
갤러리
영상
자료
법령자료
애널리스트 리포트
주가동향
기아/현대차 계열
선거관리위원회
선거관리규정
선거공고
후보자선전
후보자동영상
X
조합소개
>
조합장 인사말
조합연혁
조직도
오시는길
조합규약
>
우리사주조합규약
감사규정
기아 정관
조합현황
>
조합원 현황
우리사주현황
인출신청
>
기수별 우리사주
소식
>
공지
기아소식
소식지
갤러리
영상
자료
>
법령자료
애널리스트 리포트
주가동향
>
기아/현대차 계열
선거관리위원회
>
선거관리규정
선거공고
후보자선전
후보자동영상
기아소식
소식
>
조합소개
>
조합장 인사말
조합연혁
>
연혁
조직도
오시는길
조합규약
>
우리사주조합규약
감사규정
기아 정관
조합현황
>
조합원 현황
우리사주현황
인출신청
>
기수별 우리사주
소식
>
공지
기아소식
소식지
갤러리
영상
자료
>
법령자료
애널리스트 리포트
주가동향
>
기아/현대차 계열
선거관리위원회
>
선거관리규정
선거공고
후보자선전
후보자동영상
기아소식
>
공지
기아소식
소식지
갤러리
영상
글자크기
소식
>
기아소식
>
공지
기아소식
소식지
갤러리
영상
조합소개
조합규약
조합현황
인출신청
소식
자료
주가동향
선거관리위원회
현대차·기아, 스마트주차 조향기술 등 우수특허 12건 포상
작성자: 관리자1 | 작성일: 2025.05.21
'2025 발명의 날' 행사…우수 출원 연구원에 특허청장 표상
현대차·기아는 21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사내 특허 경연대회인 '2025 발명의 날' 행사를 열었다.
올해로 16년째를 맞는 발명의 날 행사는 현대차·기아 연구원들의 신기술 발명 출원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매년 시행되고 있다.
특히 올해 시상식에는 '발명의 날 60주년'을 맞아 김완기 특허청장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고 현대차·기아는 전했다.
특허청창 표창은 최근 10년간 최고 등급 특허를 가장 많이 출원한
AVP
개발전략실 차동은 책임연구원에게 수여됐다.
차동은 책임연구원은 모빌리티와 거주 공간을 연결하는 기술 등 총 15건의 우수 특허를 출원했다.
현대차·기아는 작년 사내에서 출원된 발명 특허와 프로젝트 3천건을 평가해 실적 보상 2건, 우수 특허 8건, 우수
i-
랩 2건도 선정했다.
실적 보상은 현대차·기아 제품에 적용된 등록 특허 중 차량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특허 출원자를 포상하는 제도다.
올해에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의 전·후진 회피 조향 제어 기술(서길원 책임연구원)과 배터리 셀 카트리지 및 배터리 모듈 조립체(최준석 책임연구원)가 상을 받았다.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의 회피 조향 제어 기술은 차량이 주차 공간 내 진입이 어렵거나 장애물로 출차가 어려운 상황에서 주변 차량 등을 인식해 회피 조향각을 제어한다.
배터리 셀 카트리지 및 배터리 모듈 조립체 기술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카트리지 소재와 구조를 개선해 기존 배터리 시스템 대비 출력 성능 및 냉각 성능을 향상했다.
현대차·기아 로고
현대차·기아는 특허성, 기술 개발 선행도, 독창성 등을 기준으로 최우수상 2건, 우수상 2건, 장려상 4건을 우수 특허로 시상했다.
최우수상은 모터, 인버터 일체형 냉각 구조(이감천 책임연구원)와 배터리 건강 상태 정밀 진단 및 사용자 표출 시스템(이우주 책임연구원)에 주어졌다.
특허 포트폴리오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인큐베이팅 프로젝트
'i-
랩'과 관련해선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 프로젝트와 자율주행·자율주차 인지 기술 개발 프로젝트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 프로젝트는 총 52건의 특허를 출원하는 성과를 거둬 '꿈의 배터리'로 일컬어지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한 핵심 역량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현대차·기아는 전했다.
양희원 사장은 "올해 발명의 날은 특허청과 함께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과 발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보여주는 행보"라고 말했다.
◀ 이전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 ▶
벤츠 EQS SUV도 제쳤다…기아 EV9, 독일 車 매체 극찬
경기도 광명시 기아로 113 (소하동) (우:14323) | 전화 : 02-801-4822~3 | 팩스: 02-801-4824
COPYRIGHT(C) RIGHTS RESERVED.